본문 바로가기

2025 근로자의 날|학교, 은행, 병원, 증권사 쉬는 곳 총정리

LEON12 2025. 4. 26.

근로자의 날, 왜 이렇게 헷갈릴까?

5월 1일 '근로자의 날'은 매년 돌아오는 법정 기념일입니다. 그런데 막상 다가오면 항상 헷갈립니다.
"학교는 쉬나?", "은행은 문 닫나?", "병원은 진료하나?", "증권사는 쉬는 걸까?"

특히 맞벌이 부부나 학생을 둔 학부모님들, 직장인들은 5월 1일 당일 어떤 곳이 쉬는지 정확히 알아야 업무와 일정을 조율할 수 있죠.

이번 2025년 근로자의 날 역시 상황은 복잡합니다. 아이 학교는 쉰다고 하는데, 본인은 정상 출근해야 하고, 은행 업무나 관공서 방문은 가능할지, 병원 예약은 변경해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.

이 글에서는 2025년 근로자의 날에 쉬는 곳과 운영하는 곳을 업종별로 완벽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학교, 은행, 병원, 증권사, 관공서 등 필요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하세요!

 

근로자의 날 쉬는 곳 총정리
근로자의 날 쉬는 곳 총정리

2025년 근로자의 날에 쉬는 곳

근로자의 날 쉬는 곳 총정리
근로자의 날 쉬는 곳 총정리

근로자의 날은 민간 부문 '근로자'를 위한 법정 기념일입니다. '근로기준법' 적용을 받는 근로자라면 이 날 유급휴일로 쉴 수 있습니다.

대표적으로 쉬는 업종

  • 일반 기업 (대기업, 중소기업 대부분)
  • 은행 (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, 기업 등 전 은행 휴무)
  • 증권사 (증권 거래소 휴장)
  • 일부 공공기관의 무기계약직, 기간제 근로자
  • 학원, 어린이집 등 민간 교육기관 (재량에 따라)
  • 일부 제조업·IT기업

은행과 증권사는 5월 1일 공식 휴무입니다. 특히 증권시장은 5월 1일, 6일, 10일 이렇게 5월에 3일간 휴장합니다.

 

2025년 근로자의 날에도 정상 운영하는 곳

근로자의 날 쉬는 곳 총정리
근로자의 날 쉬는 곳 총정리

근로자의 날에도 문을 여는 업종

  • 관공서 (시청, 구청, 주민센터 등)
  • 초·중·고등학교 및 대학교 (단, 학교장 재량 휴일 가능성 있음)
  • 공공 병원, 보건소
  • 우체국, 세무서 등 정부기관
  • 백화점, 대형마트, 편의점 (일부 재량에 따라 운영)

공무원은 '공무원법' 적용 대상이라 '근로기준법'상의 근로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. 따라서 5월 1일에도 관공서와 공공기관은 정상 근무합니다.

 

학교는 쉬나요? 학부모 필수 체크 포인트

  • 초등학교, 중학교, 고등학교: 원칙적으로 정상 수업
    (단, 학교장 재량 휴업일 또는 개교기념일이면 휴교 가능)
  • 대학교: 학교 재량 (대부분 수업 진행, 일부는 휴강)

주의: 학교별 안내 공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!  학부모 커뮤니티나 문자 알림을 체크하는 것도 좋습니다.

병원과 약국은?

  • 병원과 약국은 자율 운영입니다.
  • 대형병원은 정상 진료가 많지만, 일부 병·의원은 자체 휴진합니다.
  • 약국은 대부분 운영하지만 당번 약국만 열리는 경우도 있어 사전에 확인 필요합니다.

꼭 방문 전 전화 문의 후 방문하세요! 특히 소아과, 내과 등은 예약 필수입니다.

프리랜서, 알바, 계약직은 어떻게 될까?

  • 4대보험 가입자, 고용보험 적용 대상 근로자: 유급휴일 적용
  • 근로계약서상 '근로자의 날'이 명시된 경우 유급
  • 일용직, 프리랜서 등 계약 형태에 따라 다를 수 있음

※ 만약 유급휴일 대상이라면, 근무 시 추가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요약 정리

구분 근로자의 날 운영 여부
관공서(시청, 구청) 정상 운영
초·중·고 학교 정상 수업 or 재량 휴업
은행 휴무
증권사 휴장
병원/약국 재량 휴무
대형마트/백화점 정상 운영

마무리: 근로자의 날, 현명하게 준비하세요

근로자의 날 쉬는 곳 총정리
근로자의 날 쉬는 곳 총정리

5월 1일 근로자의 날은 모두가 쉬는 날이 아닙니다. 어디는 쉬고, 어디는 일하는 복잡한 하루가 될 수 있죠.

관공서 업무, 은행 업무, 학교 일정, 병원 예약 등 필요한 계획을 미리미리 체크하고 준비하시면 근로자의 날을 훨씬 여유 있게 보내실 수 있습니다.

특히 은행이나 증권 업무는 4월 말까지 미리 처리하고, 학교와 어린이집은 사전 안내문을 꼭 확인하세요!

추가로 근로자의 날 관련 수당 지급, 알바생 근무 기준이 궁금하다면 아래 글도 함께 확인해보세요!

댓글